기사한줄요약
게시물 내용
지난해 국내 다문화 청소년 10명 중 6명이 대학에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어요. <사진=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소득 수준도 향상됐고, 국내에서 오랜 기간 거주한 다문화가족 구성원 비중 또한 커진 것으로 나타났어요. 다문화가족의 한국 사회 정착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요.
여성가족부는 최근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를 발표했어요. 다문화가족 실태조사는 다문화가족의 생활과 자녀교육, 사회생활, 경제활동 등을 진단하기 위해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 승인 통계예요.
자녀 대학 진학 크게 높아져
다문화가족 1만6014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다문화가족 자녀의 고등교육기관 순취학률은 61.9%로 집계됐어요. 2021년 40.5% 대비 무려 21.4%포인트나 상승한 것이에요.
일반 국민과의 고등교육 순취학률 격차도 줄었어요. 2021년 31%포인트에 달했던 다문화가족 자녀와 일반 국민 자녀 간 격차는 이번 조사에서 13%포인트로 줄었어요.
여성가족부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에 대한 언어발달지원사업 등 정부의 지원 확대가 2000년대 초중반 출생한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취학률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월평균 소득도 크게 증가해
다문화가구의 소득 수준도 3년 전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어요.
이번 조사에서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다문화가구 비율은 65.8%로 조사됐어요. 2021년 50.8% 대비 15%포인트 증가했어요. 전체 가구 중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구간은 23.9%로 집계됐어요.
월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 600만원 이상 가구는 각각 12.4%, 10.4%를 기록했다. 해당 구간 가구 비율이 두 자릿수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단순히 다문화가구의 소득 수준만 향상된 것이 아니라 결혼이민자나 귀화자의 소득 수준도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어요.
직업 안정성은 높지 않아
다만 직업 안정성은 여전히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상용근로자 비중이 45.6%로 2021년 47.7% 대비 소폭 줄었어요.
직종별 분류에 따르면 단순노무직이 39.0%로 가장 많았어요. 이전 조사 때의 32.4%보다 증가한 수치예요.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월급이 늘어난 것은 긍정적이지만 상용근로자 비중이 작아졌다”며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지난해부터 시범운영 중인데 고용 안정성이 높은 분야를 더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경기외국인SNS기자단 (파파야스토리는 2025 경기외국인SNS기자단의 운영사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ggforsns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ggforsns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ggforsns/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