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한줄요약
게시물 내용
K-패스가 출시 3개월 만에 이용자 200만명을 돌파했어요. K-패스는 한국 정부가 운영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을 말해요. <사진=K-패스 홈페이지>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따르면 5월부터 시행된 K-패스의 이용자는 8월 2일 기준 200만 명을 돌파했어요. 이 가운데 청년층이 111만 4000명(55.7%)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층은 80만 2000명(40.1%), 저소득층이 8만 4000명(4.2%)이었어요.
어떤 혜택이 있어?
K-패스 교통카드는 매달 사용한 대중교통비를 절반까지 돌려받을 수 있어서 교통비 부담을 줄여줘요. 또한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구요.
버스, 지하철뿐만 아니라 광역버스, 마을버스, 공항철도 등 다양한 대중교통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카드를 발급해 주는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영화 할인, 편의점 할인 등 추가혜택도 받을 수 있어요.
얼마나 환급해 주는 거야?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예요.
K-패스 사업 시행 이후 2개월(5월, 6월)동안 이용자들은 대중교통으로 월 평균 5만 6005원을 이용했고 이중 1만 5060원(1년 기준 18만 72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어?
K-패스 홈페이지(https://korea-pass.kr/)나 모바일앱에서 27개의 카드 중 본인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해서 발급받으면 돼요. 27종류의 카드는 대부분 은행이나 신용카드회사에서 발급하고 있어요.
카드가 발급되어 집에 도착하면 K-패스 홈페이지에 다시 방문해서 회원가입을 해야 돼요. 회원가입을 하지 않으면 적립이나 환급을 받을 수 없어요.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나 앱에서 K-패스로 전환해야 돼요.
주의할 점은 뭐야?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매달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 또한 월 환급 한도는 60회까지이며, 초과 사용분에 대해서는 환급되지 않습니다.
특히, K-패스 어플을 사용하면 편리해요. 어플을 보면 대중교통 이용에 따른 적립금액과 내역이 보이니까 더욱 즐겁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어요.
국토교통부는 K-패스에 대한 관심과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8월 8일부터 14일까지 국토교통부 인스타그램을 통해 ‘K-패스 환급 인증 이벤트’를 개최할 계획이에요.
파파야스토리
댓글
0